티스토리 뷰

DB

DB - 1주차

perseverance 2024. 10. 31. 21:42

1. 파일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파일시스템에서는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합니다.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할 경우 중복이 발생할 수 있고 일관성이 깨질 수 있습니다.

반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를 DBMS을 통해 관리합니다. DBMS를 통해 데이터의 중복을 방지하고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사용자가 동시사용할 수 있고 데이터복구나 보안성까지 제공합니다.

2.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1. 실시간 접근
    데이터베이스는 실시간으로 서비스 됩니다. 실시간이란 사용자가 요청하는 순간의 실제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것을 말합니다.
  2. 계속적인 변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은 어느 한순간의 상태를 나타내지만, 데이터 값은 시간에 따라 항상 바뀝니다.
  3. 동시 공유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다른 업무 또는 여러 사용자에게 동시에 공유됩니다.
  4. 내용에 따른 참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의 물리적인 위치가 아니라 데이터 값에 따라 참조됩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레코드는 특정 키(예: ID)로 구분됩니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접근할 때 데이터베이스는 이 키나 데이터 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찾아주며, 이 과정에서 실제 물리적인 저장 위치를 사용자는 알 필요가 없습니다.

3. DBMS는 뭘까요? 특징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DBMS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주기억장치에 상주하면서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시켜 줍니다.

프로그램에 데이터 정의나 데이터 값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구조가 바뀌어도 다시 컴파일할 필요가 없습니다.

 

4. 스키마가 뭘까요?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나 제약 조건등에 대한 명세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나뉩니다.

외부스키마는 사용자단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바라보는 뷰를 정의합니다.

개념 스키마는 저장 장치에 독립적으로 기술되며, 데이터와 관계, 제약사항, 무결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됩니다.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의 물리적 저장구조를 정의합니다. 인덱스, 데이터 레코드의 배치 방법, 데이터 압축 등에 관한 사항이 포함됩니다.

 

5. 데이터 독립성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데이터 독립성은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특징입니다.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은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 스키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뜻합니다.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뜻합니다.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은 내부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개념 스키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뜻합니다.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리적 저장 장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뜻합니다.

 

6. 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는 뭘까요?


RDBMS는 관계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관리하는 DBMS입니다.

데이터는 릴레이션(테이블) 표현되며 릴레이션(테이블) 간에는 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7. 릴레이션 스키마와 릴레이션 인스턴스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릴레이션 스키마는 릴레이션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구조를 정의합니다. 릴레이션 스키마에는 릴레이션의 속성, 도메인, 차수등을 정의한 것입니다.

 

8. 릴레이션의 차수와 카니덜리티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릴레이션에서 차수란 속성의 개수를 뜻합니다.

예를들어 학생 릴레이션에 나이, 이름, 학교 등의 속성이 있다면 차수는 3입니다.

카디널리티는 릴레이션에 저장된 튜플의 수를 뜻합니다.

튜플들은 서로 중복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9. 키(Key)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슈퍼키, 후보키, 기본키, 대리키, 외래키)


  • 슈퍼키는 투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속성 집합입니다.
  • 후보키는 투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최소 속성 집합입니다.
  • 기본키는 후보키중 하나가 선택되어 투플의 식별자로 쓰이는 대표키 입니다.
  • 외래키는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는 참조하는 키입니다.
  • 외래키를 통해 릴레이션(테이블)간 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 대체키는 기본키로 선정되지 않은 키입니다.
  • 대리키는 마땅한 기본키가 없을때 일련번호와 같이 속성을 추가하여 그것을 키로 삼는 키입니다. 인조키라고도 불립니다.

10. 무결성 제약조건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도메인 무결성, 개체 무결성, 참조 무결성)


무결성 제약조건이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지키는 것을 말합니다.

도메인 무결성 제약조건은 도메인 제약이라고도 하며, 릴레이션 내의 투플들이 각 속성의 도메인에 지정된 값만을 가져야 한다는 조건입니다.

개체 무결성 제약조건이란 기본키는 NULL값을 가져서는 안되며 릴레이션 내에 오직 하나의 값만 존재해야 하는 조건입니다.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은 외래키를 참조하는 자식 릴레이션의 외래키는 부모 릴레이션의 기본키와 도메인이 같아야 하며 자식 릴레이션의 값이 변경될 때 부모 릴레이션의 제약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 3주차  (1) 2024.11.14
DB - 2주차  (2) 2024.11.0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